"반려동물 행동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가자격제도 시행 (2024년 1월)
페이지 정보

본문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증가함에 따라, 그와 관련된 사건사고도 늘어나고 있는 현실에서, 정부가 반려동물의 안전한 관리와 복지 증진을 위해 새로운 제도를 마련했습니다. 특히, 반려동물의 행동 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반려동물행동지도사'에 대한 국가자격제도가 신설되었습니다.
이번 조치는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동물보호법 및 수의사법의 개정안에 따른 것입니다. 새롭게 도입되는 맹견사육허가제는 4월 말부터 시행되며, 맹견을 사육하고자 하는 사람은 일정한 요건을 충족한 후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맹견으로 지정되지 않은 개들도, 사람이나 다른 동물에게 위협을 가할 경우, 기질 평가를 통해 맹견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포함되었습니다. 현재는 도사견, 스탠퍼드셔 불테리어 등 5가지 견종이 맹견으로 분류되며, 이들은 반드시 중성화 수술을 받고 외출 시 입마개를 착용해야 합니다.
반려동물 가구의 증가와 함께, 반려견의 행동 교정과 관련된 전문 지식 및 기술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제도를 신설하여, 반려견의 행동 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기로 했습니다.
동물 복지와 보호를 위한 이러한 제도의 도입은, 반려동물과 사람이 더 안전하고 행복하게 공존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러한 법률의 하위법령 개정안을 발표하며, 동물보호 및 복지 제도의 강화를 통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반려동물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이는 희소식이며, 반려동물과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다음글동물병원, 우리 동네 더 가까이… 입점 가능구역 늘어난다 (국토교통부) 23.04.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